애송시모음/☆ 중국 한시 93

蒿里

♛ 蒿里誰家地(호리수가지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호리 땅은 누가 사는 집 이련가? 聚斂魂魄無賢愚(취렴혼백무현우)         거기에는 현인과 바보의 구별이 없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온갖 죽은 혼백이 모아지나니 鬼伯一何相催促(귀백일하상최촉)         죽음의 신은 어쩌면 그렇듯 재촉하는가. 人命不得少踟躕(인명부득소지주)         이래서는 사람 목숨 잠시도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이 세상에 머물지 못하겠네. -《樂府詩集》 -

去者日以疎 / 文選

071  ♛去者日以疎(거자일이소)          떠나가는 사람 날이 갈수록 잊혀지고來者日以親(래자일이친)          오는 사람은 날이 갈수록 친해진다. 出郭門直視(출곽문직시)         성문 밖에 나서서 주위를 살펴보면但見丘與墳(단견구여분)         눈에 띄는 건 크고 작은 무덤 뿐. 古墓犁爲田(고묘리위전)         옛 무덤은 어느 듯 논밭으로 바뀌고松柏摧爲薪(송백최위신)         소나무 잣나무도 베어져 장작이 되었다. 白楊多悲風(백양다비풍)         고리 버들에 부는 가을바람도 서글퍼서蕭蕭愁殺人(소소수쇄인)         살랑이는 잎 소리까지 시름겹게 만든다. 思還故里閭(사환고리려)         그럴 때 고향으로 가고픈 생각 일지만欲歸道無因(욕귀도무인)         ..

長歌行 / 文選

070  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♛ 靑靑園中葵(청청원중규)         파릇파릇한 동산의 아옥풀朝露待日晞(조로대일희)         아침 이슬은 날빛 받아 마른다. 陽春布德澤(양춘포덕택)         화창한 봄날 은혜 넘치고萬物生光輝(만물생광휘)         만물은 빛나며 생장해 간다. 常恐秋節至(상공추절지)         항시 신경 쓰이는 건 가을철이 와焜黃華葉衰(혼황화엽쇠)         꽃과 잎이 누렇게 시드는 것이어라. 何時復西歸(하시부서귀)         대체 언제나 다시 서쪽에 돌아오려나. 少壯不努力(소장불노력)         젊은 날에 애써 노력하지 않는다면老大徒傷悲(노대도상비)         늙어 헛되이 슬퍼 탄식하리라.    ..

生年不滿百 / 文選

069 ♛ 生年不滿百(생년불만백) 사람 사는 세월 백 년도 못 되는데 常懷千歲憂(상회천세우) 항시 천년 뒤의 일까지 걱정한다. 晝短苦夜長(주단고야장) 낮은 짧고 밤이 길어 괴롭다지만 何不秉燭遊(하불병촉유) 어찌해 촛불 켜서 놀지 않는가. 爲樂當及時(위락당급시) 즐거움을 구한다면 그 때를 놓치지 말지니 何能待來玆(하능대래자) 어찌 오늘 해를 기다릴 수 있으랴. 愚者愛惜費(우자애석비) 어리석은 사람은 비용 쓰기를 아까워 하지만 但爲後世嗤(단위후세치) 그것은 뒷날의 웃음거리가 될 뿐이다. 仙人王子喬(선인왕자교) 저 신선이었던 왕자 교(喬)처럼 難可與等期(난가여등기) 더불어 긴 수명을 누릴 수는 없는 것이다. -《文選》生年不滿百(사람 사는 세월 백 년도 못 되는데) -

行行中行行/ 文選

068  ♛  行行重行行(행행중행행)          가고 가시어 또 가고 가시어서與君生別離(여군생별리)          그대와 생이별하게 되었습니다. 相去萬餘里(상거만여리)          서로 동 떨어진 지 일만여 리各在天一涯(각재천일애)          마치 제각기 하늘 한 끝에 있는 듯합니다. 道路阻且長(도로조차장)          뵈옵게 되기란 생각조차 못할 노릇입니다.會面安可知(회면안가지)          그대 계신 곳에 가려해도 길 멀고 험하여 胡馬依北風(호마의북풍)          남쪽에 옮겨진 호마는 북풍을 향해 몸을 기대고越鳥巢南枝(월조소남지)          북쪽에 옮겨간 월조는 남쪽 가지에 둥지를 튼다 합니다. 相去日已遠(상거일이원)          그런데 떠난 날 하도 오래어衣帶日..

北門 / 詩經

067   ♛ 出自北門(출자북문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거리 북문을 나서면  憂心殷殷(우심은은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내 마음 시름겨워 우울하다. 終窶且貧(종구차빈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언제나 누더기 입고 가난한莫知我艱(막지아간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내 어려움을 알아주는 이 없다. 已焉哉(이언재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할 수 없지 뭐.天實爲之(천실위지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하늘이 하시는 일인데謂之何哉(위지하재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뭐라고 할 말이 없지 뭐. 王事適我(왕사적아)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왕의 명령은 내게만 내리고政事一埤益我(정사일비익아)      세금도 내게만..

常棣 / 詩經

066   ♛ 常棣之華鄂不韡韡(상체지화악불위위)           환하게 빛 넘치는 산 앵두꽃 피었네.凡今之人莫如兄弟(범금지인막여형제)           세상 사람들 중에서 형제 같음 또 없네. 死喪之威兄弟孔懷(사상지위형제공회)           죽을 고비 당해서도 형제면 생각하고,原隰裒矣兄弟求矣(원습부이형제구의)           송장 깔린 그 곳에도 형제는 찾아가네. 脊令在原兄弟急難(척령재원형제급난)           들의 할미새 호들갑 뜰 듯 형제는 어려움 급히 구하네. 每有良朋况也永歎(매유양붕황야영환)           아무리 좋은 벗 있어도 그럴 땐 탄식만 사리. 兄弟鬩于牆外禦其務(형제혁우장외어기무)   형제는 집안에서 다투다가도 밖에선 모욕을  함께 막네. 每有良朋烝也無戎(매유양붕증야무융)  ..

柏舟 / 詩經

065 ♛ 汎彼栢舟(범피백주)        물에 떠 있는 저 잣나무 배는亦汎其流(역범기류)        여기 저기 정처 없이 떠다닌다. 耿耿不寐(경경불매)        그리움으로 밤에 잠 못 이루노니如有隱憂(여유은우)        말 못할 괴로움이 있는 듯하다. 微我無酒(미아무주)        내게 술이 없는바 아니지만以敖以遊(이오이유)        멋대로 놀아서 시름 잊을 수 없다. 我心匪鑒(아심비감)        내 마음은 거울이 아니기 때문에不可以茹(불가이여)        남의 마음 미루어 알 수 없다. 亦有兄第(역유형제)        한 피로 이어진 형제는 있지만不可以據(불가이거)        의지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. 薄言往愬(박언왕소)        오히려 불평을 말하러 가면逢彼之怒(봉피지로)..